◈ 행복모음/좋은글모음

[스크랩] 일상 생활에 필요한 생활 예절

바다해SeaSun 2008. 4. 24. 11:10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의 관계
사돈간의 호칭

배례법과 경례 및 악수의 예절

예절의 방위와 상하석

공통예절

읍례와 굴신례
절의 종류와 절하는 법
경례의 종류와 방법
악수의 방법

예절의 방위
남좌여우는 남동여서
상하석의 기준
좌석 배치의 실제

'우리'로 더불어 사는 길
위계질서
사람의 기본윤리

공손한 자세

공수하는 방법 

상장례

제례

문답으로 알아보는 예절상식

고례의 상장례
상장례의 기본정신
초종
목욕, 습, 염, 입관
상복의 제도
성복
치장
상중제의

제사의유래       제사상 차리는 법
제례수상          신위 쓰는법
제사의 종류      제사지내는 순서
제주와 참사자   제사 지내는 시간
제사음식 준비   지방 쓰는 법
기제일             축문 쓰는 법
명절차례

생활예절 100문 100답
유교와 예절
친족간의 칭호
복식
수연례
혼례
상례
제례 

현대식 혼례

전통 혼례

 

현대식 혼례

전통 혼례

 

 

이십사절후표(二十四節侯表)

 

계절

(季節)

절기명

(節氣名)

양력(陽曆)

음력 陰曆

기후(氣候)의 특징(特徵)

立春(입춘)

2월

4~5일

1월

겨울의 절정에서 봄이 조금씩 움튼다

雨水(우수)

18~20일

얼음이 녹고,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

驚蟄(경칩)

3월

5~6일

2월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난다

春分(춘분)

20~22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봄기운이 무르익는다

淸明(청명)

4월

4~5일

3월

하늘은 맑고, 날씨는 따뜻하다

穀雨(곡우)

20~21일

농사를 재촉하는 비가 내린다

여름夏

立夏(입하)

5월

5~6일

4월

어느새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

小滿(소만)

20~21일

작은 꽃들이 피고, 여름기운이 서서히 감돈다

芒種(망종)

6월

5~6일

5월

보리는 익어서 거두고, 모심기를 하게 된다

夏至(하지)

21~23일

낮이 가장 길어지고, 해가 뜨거워 진다

小暑(소서)

7월

6~8일

6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大暑(대서)

22~23일

이윽고 무더위가 최고 절정에 이른다

가을秋

立秋(입추)

8월

7~8일

7월

더위가 약간 수그러 들면서 가을에 접어든다

處暑(처서)

22~23일

아침‧저녁으로 시원해지며 더위가 수그러든다

白露(백로)

9월

7~8일

8월

풀잎에 이슬이 맺히며, 가을 기분이 난다

秋分(추분)

22~24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며, 완연한 가을이다

寒露(한로)

10월

7~9일

9월

찬 이슬이 맺히고, 날씨가 서늘해 진다

霜降(상강)

23~24일

서리가 내리면서 가을이 깊어간다

겨울冬

立冬(입동)

11월

7~8일

10월

어느덧 날씨가 추워지며 겨울이 시작된다

小雪(소설)

22~23일

눈이 조금씩 내리기 시작한다

大雪(대설)

12월

6~7일

11월

큰 눈이 내리며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冬至(동지)

원글보기
메모 :

'◈ 행복모음 > 좋은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은 졌다가 피고, 피었다 또 진다.  (0) 2008.04.25
[스크랩] 어머니  (0) 2008.04.24
[스크랩] 아름다운황혼  (0) 2008.04.24
결혼의 문턱에서  (0) 2008.04.24
[스크랩] 있잖아...친구여~~!!  (0) 2008.04.22